2024-03-29 18:58 (금)
이준 선생 예술세계 `빠져든다`
이준 선생 예술세계 `빠져든다`
  • 이병영 기자
  • 승인 2018.01.16 2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립미술관 2018 첫 전시 지역작가조명 `빛의 향연` 전
▲ 이준 선생의 작품 굉음(1978ㆍ캔버스에 유채ㆍ120x137㎝,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경남도립미술관(김경수 관장)은 2018년 첫 전시로 다음 달 8일부터 오는 5월 16일 까지 1, 2, 3전시실 및 특별전시실에서 지역작가조명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빛의 향연-이준`(上壽)기념 전을 연다.

 남해 출신으로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하신 남사 이준 선생의 100세를 기념하고, 지역미술 1세대 작가로 그의 업적과 예술세계를 조망하는 전시다.

 100세를 上壽(상수)라 하는데, 한국에서 100세를 맞이하는 上壽(상수) 기념전시는 지금까지 지난 2012년 윤중식 선생, 2016년 김병기 선생에 이어 이준 화백이 세 번째다.

 남사 이준(1919~)은 남해에서 태어나 1930년대 말 도일해 태평양미술학교에서 수학 후 마산상고 교사로 부임해 1947년 제 1회 미술전함회, 1949년 제 1회 경남미술연구회 작품전, 1950년 爀土社전에 출품하며 경남미술 태동기를 함께한 경남의 작가다. 부산 피난시절 많은 예술인과 교류했으며 특히 수화 김환기와 함께 귀거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이후 상경해 1950년대부터 30년간 이화여대 미대교수를 역임하는 등 붓과 교편을 동시에 쥐고 한국 미술의 면모를 일신해온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다.

 이준 화백은 1950년대까지의 주요 화풍이었던 구상회화에서 벗어나 1970년대 초부터 선과 면의 기하학적 패턴이 주요 구성요소가 되는 기하추상을 화폭에 담기 시작했다. 구상에서 비구상, 이후 추상화로의 점진적인 변화는 현대작가의 필수적인 4대 요소 즉, 상상의 자유, 표현의 자유, 재료의 개방 그리고 감상의 자유를 늘 염두에 뒀던 작가의 고집스런 신념이 반영된 결과였다. 작품의 결과가 우연한 효과에 기인하던 1950년대 추상화로의 진입기에 작가는 자신의 의도가 보다 분명히 드러나는 작업을 위해 다양한 실험을 시도했다.

 연상되는 사물의 형태를 간소화하고, 작가의 눈과 마음에 각인된 찰나의 광색을 그때그때 화폭에 고정시키면서 상상과 표현의 자유를 캔버스 위에서 향유했던 것이다.

 그의 캔버스에 등장하는 다양한 색 띠와 도형들은 자연의 대상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주로 산, 나무, 해, 달 등 작가의 마음속에 내재된 자연에 대한 기억의 일부가 여과돼 재구성된 형태들이다. 그의 작품에 오랫동안 시선이 머무는 이유는 아마도 자연을 추상의 형태로 포착하려 했던 작가의 감수성이 오롯이 관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일 것이다.

 예컨대 1960년~1970년대의 산업화시기에 작가에게 다가온 낯선 공장 지대의 모습과 그것에서 비롯되는 소음은 검은 바탕에 커다란 원이 화면을 가르는 `굉음`이라는 작품으로 나타났고, 이탈리아 여행 도중 곤돌라 위에서 풍선을 들고 놀던 아이들의 모습은 타원형의 검은 형상 위에서 알록달록한 색의 크고 작은 원으로 `축제`라는 이름을 달고 재탄생 됐다.

 이준 화백의 캔버스에는 그가 살았던 삶과 그가 만났던 자연과 그들을 응시하는 작가의 태도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사실주의적 구상 회화에서 점차 비구상의 기하학적인 패턴과 색면으로 변화해가는 그의 작품세계는 전쟁과 분단이라는 다사다난한 근현대사가 고스란히 응축된 결과다.

 이 시대적 변화와 흐름을 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이 지역 출신인 작가의 작품 세계를 집약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근현대사를 아프게 관통한 한국 화단의 큰 맥을 함께 짚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남사 이준은 일본 태평양미술학교 서양화 학사를 거쳐 마산공립상업고등학교, 진명여고 미술교사, 숙명여대, 이화이화여대 미술대 교수, 현대미술초대작가 선정위원, 한국미전 운영위원장, 한국미술협회 회장, 홍익대 미술대 대학원 강사, 예술의전당 비상임 이사,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세계미술제 운영위원,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등 예술계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