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20:54 (금)
노벨상광주회의 무얼 남겼나
노벨상광주회의 무얼 남겼나
  • 승인 2006.06.19 0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는 ‘5월 정신’의 세계화와 세계인들에게 민주와 인권, 평화의 도시로 광주를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됐다.
특히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확산과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평화 정착, 빈곤 퇴치와 인권, 비핵화 등 범세계적인 화두를 지방의 도시 광주에서 접근했다는 것은 커다란 의미를 던져주고 있다.
노별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가 채택한 광주선언문에서도 이같은 점은 찾아 볼 수 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와 수상단체 대표들이 머리를 맞대 작성한 선언문 서두에도 “한국 민주화의 성지인 광주에서 우리는 한반도와 세계의 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한 인류의 염원과 역사적 책무를 확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5.18 민중항쟁과 6.15 남북공동성명을 세계적인 이벤트로 커다란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는 사건으로 규정하고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확산과 한반도와 세계 평화 정착의 실마리를 찾는 근원으로 삼았다.
선언문에서 “5.18 민중항쟁과 6.15 남북공동성명은 한국 민주주의와 한반도 평화는 물론 아시아와 세계 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한 역사적인 사건”이라며 “우리 노벨평화상 수상자들이 이 두 사건의 정신과 철학을 존중하며 구현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는데서 반추할 수 있다.
또 인류의 공통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인권과 빈곤, 전쟁의 공포로부터 해방 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로 남북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열린 이번 정상회의는 남북의 화해와 한반도 평화 증진에도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6.15 민족통일대축전과 동시에 개최되면서 광주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광주가 국제도시로 성장하는 기반을 구축했으며 김대중컨벤션센터를 통해 전시컨벤션 도시로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5.18 항쟁정신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 증진에 기여하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준비 소홀과 지역행사에 머문 점은 한계로 지적됐다.
정부의 인식도 문제로 나타났다.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국가적 행사를 지방자치단체의 이벤트로 치부하면서 2억 5000만원을 지원하는데 그쳤다.
또 학술회의 중심의 단순한 프로그램 운영은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서 ‘그들만의 행사’로 전락시켰다.
어렵게 개최된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의 지나친 통제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 채 평화와 인권의 축제임을 무색케 했다.
특히 참석자가 당초 개인 8명에서 5명으로 축소되고 결국 광주시가 초청장을 보낸 수상자와 수상단체 대표 43명 가운데 12명만 참석해 광주정상회의 개최 의미를 반감시켰다.
이 과정에서 과테말라 시민운동가인 리고베르타 멘추 툼 여사와 동티모르 호세 라모스 외무장관이 개인 사정과 국내 내전으로 인한 불참하는 것이 사전에 확인됐는데도 행사 당일에 공개하면서 참가자 수 늘리기에 급급해 내실 보다는 외연에 치중했다는 인상을 줬다.
또 본인의 희망에도 불구하고 티베트의 정신적 지주 달라이 라마가 정치적 이유로 참석하지 못한 것은 커다란 아쉬움으로 남겼다.
광주시가 노벨평화상 수상자 정상회의의 정례화를 통해 세계적인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숙박시설 등 열악한 전시컨벤션 인프라와 대행업체 등의 산업구조, 프로그램 다양화 등은 향후 풀어야 할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