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01:09 (수)
전사자 유해발굴은 국가의 의무
전사자 유해발굴은 국가의 의무
  • 승인 2007.06.08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 52회 현충일을 하루 앞두고 노무현 대통령이 경기도 포천시의 6ㆍ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을 방문했다.

군 통수권자가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을 방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대통령이 당시 전투에 참가했던 노병 및 전사자 자녀들과 함께 발굴 작업을 지켜본 것은 의미 있고 잘한 일이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호국 용사들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사자들을 위해 국가가 꼭 해야 할 일 중 한가지는 그들의 유해를 반드시 찾아내 유족의 품으로 보내는 것이다.

그들의 시신을 방치하는 것은 국가이기를 포기한 것이나 다름없다. 미국은 전사자가 묻혀 있는 곳이라면 북한과 러시아 등 세계 어느 곳을 불문하고 찾아가 유해를 발굴하고 대대적인 본국 송환행사를 연다.

지난해 6월 미군은 62년 간 추적한 끝에 제2차 세계대전 중 남태평양에서 숨진 병사 3명의 유해를 수습해 군 최고의 예우로 장례식을 치른 바 있다.

전사하거나 실종된 미군의 유해 발굴ㆍ감식ㆍ송환을 주 임무로 하는 JPAC(합동 전쟁포로ㆍ실종자 확인사령부)는 ‘그들이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Until they are home)’ ‘당신은 잊혀지지 않았다(You Are Not Forgotten)’라는 구호로 유명하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전사자들에 대한 국가의 무한책임을 느낄 수 있다. 우리의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은 2000년에야 처음 시작됐으나 지금까지 국군 1천376구를 발굴하는 데 그쳤다.

6ㆍ25 당시 사망 또는 실종한 국군이 13만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음과 비교할 때 발굴 실적이 1%에 불과하다.

이처럼 유해 발굴 및 신원 확인 작업이 더딘 것은 50여년 전에 벌어진 전투현장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나 당시 전사 지역을 추정할 만한 자료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비록 늦었지만 `6ㆍ25 전사자 유해발굴’ 전문부대인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지난 1월 창설된 것은 다행이다.

감식단은 오는 11월15일까지 전투가 치열했던 전국 12개 지역에서 전사자 유해발굴 작업을 벌인다.

주민 제보와 증언을 토대로 지역별 전투기록을 분석하고 수차례에 걸쳐 현지 타상성 조사 등을 거쳤다고 하니 많은 유해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이 성과를 거두려면 무엇보다도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

국민 모두가 유해 발굴 사업은 전사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유가족들에게는 50여년의 한을 풀어주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 또한 정부와 국회는 인력과 예산을 충분히 뒷받침해줘야 하며 경찰청ㆍ국가보훈처ㆍ행정자치부ㆍ지방자치단체가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 군(軍) 혼자서 추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전사자 유해발굴 지원법(가칭) 제정이 시급한 것도 이런 연유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 포로의 송환을 위한 노력을 배가할 필요가 있다.

매월 7만원의 참전명예 수당과 보훈병원 이용시 진료비 60% 감면혜택만 주어지는 참전용사 22만여명에 대한 유공자 대우 개선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 국가가 책임지는 데 결코 인색해선 안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