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09:58 (일)
함안보 건설, 날선 공방 가열
함안보 건설, 날선 공방 가열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0.01.10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책위 “보 위치 이전등 근본 대책 세워야”
정부측 “수위 조절하면 침수피해 없을 것”

경남도내 시민단체 2010년 새해공동 시무식이 지난 8일 창녕군 길곡면 함안보 설치 현장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보설치를 국민의 힘으로 막아내자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영환 기자>
낙동강 살리기와 관련, 함안보 설치를 둘러싼 공방이 점입가경이다.
 
침수 피해를 우려하는 주민 등 대책위원회는 함안보의 관리수위를 조금 낮추는 것이 근원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며 보 위치 이전과 정밀조사 등 근본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국토해양부와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도 등 4대강 사업 추진 부서는 관리수위 조정으로도 지하수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농경지 성토, 배수시설 확충 등 다른 대책도 세워놓고 있다며 맞서고 있다.
 
□ 주민 대책위 “함안보 이전 요구” = ‘4대강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와 ‘4대강사업 함안보 피해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함안보 위치 이전과 낙동강 전체 보에 대한 정밀조사를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5일 함안보 지하수위 영향에 대한 민관자문회의 개최 결과 저지대 침수피해 대책으로 관리수위를 종전 7.5m에서 5m로 하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며 “이는 결국 그동안 학계와 시민사회단체가 제기해온 함안보 설치에 따른 침수 피해를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하수위 상승에 대한 어떤 반박도 하지 못한 채 관리수위 하향 조정안을 내놓은 것을 보면 이 사업이 얼마나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으로 진행된 것인지 알 수 있다”며 “당국은 함안보 뿐만 아니라 낙동강 8개 보 전체의 문제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책위는 “관리수위를 5m로 낮춰도 함안 대산면을 비롯해 함안천보다 저지대인 광려천과 계성천 주변은 여전히 피해지역으로 남게된다”며 △대책 수립 시까지 함안보 공사 중단 △함안보의 상류쪽 이전 △민관협의회 구성 및 주민 참여 통한 정밀조사 등을 요구했다.
 
□ 국토부 “저지대 침수피해 없을 것” =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 등은 주민 등 대책위가 우려하는 함안보 주변 저지대 침수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반박한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7일 함안보 관리수위를 3m이하로 낮춰야 안전하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관리수위를 5m로 낮춰도 저지대 침수피해는 없을 것”이라며 “관리수위 조정에도 불구하고 일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농경지 성토, 배수시설 확충 등의 대책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등은 함안보 설치로 인한 지하수위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설계 과정에서 보의 높이는 13.2m에서 10.7m로, 관리수위는 7.5m에서 5m로 각각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수자원공사도 이날 자료를 내고 “보 건설로 인한 저지대 지하수위 영향은 이미 충분한 검토를 거친 사항”이라며 “실시설계 과정에서 관리수위 조정과 농경지 리모델링 등 철저한 세부대책을 세워놓고 있다”고 밝혔다.
 
수공은 또 “다각적인 분석 결과 보의 관리수위를 5m로 유지해도 지하수위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리수위를 3m로 낮추라는 주장은 현지의 지형 및 하천수위, 유량 등을 감안하지 않은 무리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 학계, 보 건설하면 습지화 가능성 제기 = 4대 강 사업과 관련, 낙동강에 함안보가 설치되면 주변지역이 침수될 우려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에서도 낙동강 사업에 따른 보(洑) 건설로 수위 상승 가능성이 높은 만큼 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하천학회의 세미나에서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보가 건설되면 보의 상류에서 관리되는 수위가 인근 지역의 지하수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저지대일 경우 습지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낙동강 유역에서만 약 42㎢의 지역이 습지화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고 또 박재현 인제대학교 교수는 함안보 설치로 남강과 하천수위가 상승해 인근의 지하수위가 동시에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박재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