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07:18 (일)
3ㆍ1절 103주년 되돌아보며
3ㆍ1절 103주년 되돌아보며
  • 김기원
  • 승인 2022.03.02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기원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
김기원 경상국립대학교 명예교수

1919년 3ㆍ1 운동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가 수립된다. 중국 상해(上海)를 중심한 독립운동 열사와 1919년 4월 10일 신한청년당을 합세해 임시정부 정원을 구성하고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 헌장(憲章)을 공포했다. 4월 13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이어 1919년 9월 11일 서울과 러시아령에 있는 임시정부를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하고 대한국민 임시 헌법을 제정ㆍ공포했다.

 세계 제1차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이어지는 숨가쁜 정세 변화가 결국 1910년 이후 대한제국은 일본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한민족의 울분이 결국 1919년 3월 1일 독립운동으로 분출되고 그 여세를 몰아 국내외적으로 확산 된다. 결국 3ㆍ1운동 분출 결과는 임시정부 수립과 근대 민주화로 이어져왔다. 3ㆍ1 독립운동 103주년을 맞아 뒤돌아보면서 대외적으로 독립(獨立)의 존엄성을 세우고 정치제도의 민주공화제로 갈망한 임시정부의 이념과 발자취를 뒤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임정은 전제군주제와 입헌국주제를 배척하고 민주공화제를 기본 이념을 삼고 민주(民主), 민본(民本), 민권(民權) 3민 주의를 삼았다. 임시의장원이란 대의기관을 설치해 권력의 분배, 권력 견제란 엄격한 의미로 민주주의의 삼권 분립 기본원리를 충실히 이행했다. 투쟁강화와 피난처를 여러 차례 옮기면서 8월 15일 광복까지 6차례 민주공화체제 이념을 기본으로 유지했다. 또한 민주국가를 건설하는데 절차를 염두에 두고 6차례 걸쳐 보충한 노동권에 파업권 및 수익권 조항을 포함했다. 또한 교육, 직장, 노약자 부양권 요구 및 권리행사를 명시하고 복지국가로 지향하는 복지제도를 규정해 미래 국가 규모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임시정부 수립 이후 26년 동안 쫓기고 숨겼던 주소지 변경이 상해에서만 12차례 방량하는 아픔도 있었다. 그 동안 임시정부지도 체제도 필요에 따라 여러 차례 바뀌었다. 대통령제(1919년 9월~1925년 3월)에서 국부령제(1925년 3월- 1927년2월)로 바꾸었다. 1925년 3월 윤봉길 의사 의거로 부득이 상해를 탈출하는 과정에서도 국무위원과 임시정부 회의만은 어느 방법을 유지하던 국무위원회제(1927년 2월-1940년 2월)로 바꾸는 사이에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의사의 일왕 저격 미수사건으로 1932년 5월 백래니몽(白來尼蒙), 마랑로 보경리(普慶里) 4회에 걸쳐 이사했고 항주ㆍ광주 진강ㆍ장사ㆍ기장을 거처 소재지를 여러 차례 옮기지만 체제와 본국 연락은 긴밀하게 유지된다. 전쟁의 격화와 광복군의 강화로 1940년 9월부터 중국 중경(重慶)에 정착해 1945년 8월 광복까지 안착해 독립운동의 총본산이 됐다. 특히 윤봉길 의사 의거는 중화민국 12억 인구가 못하는 것을 임시정부가 일본 야욕을 분쇄하자 중국 장개석 주석의 호평으로 임정의 위상이 달라졌다. 쫓기는 청사가 중경에 정착됐고 경제적 지원 연계로 광범위한 독립운동 무대를 구축했다.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계기로 임정은 해방과 광복 의지가 충만하였고 근대국가 건설 론에 건국강령을 대표하면서 1942년 이후 독립운동 세력은 소아를 버리고 대의 실현으로 연립내각을 구상했던 바 해방 후 소련과 미국은 38선으로 국정을 실시하는 동안 소외된 임시정부는 1945년 11월 12월 두 차례로 나누어 귀국했는데, 임정 자격이 아니고 개인 자격으로 귀국해 조국 광복의 기쁨과 건국 론의 꿈은 깨졌다. 분단의 아픔과 민족의 수난은 양 세력에 휘말려 해방 77년을 맞았으나 임정이 던지는 역사 교훈은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은 세월의 흐름 따라 아픔을 뒤돌아보며 한 시대에 어른들의 잘못으로 생긴 서러움 느끼는 계기가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